초록
본 연구는 본격적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에 앞서 1차적으로 2015 교육과정과 연계된 디지털 리터러시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확산을 지원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명시된 디지털 소양(Digital lteracy)의 개념을 구조화하고, 2022 개정 정보과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교육부 외, 2022.12.31)에서 도출된 디지털 리터러시 내용 체계의 대영역, 세부 요소 내용 등을 학습 요소와 수행 기대로 구체화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교과 연계를 기반으로, 교과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향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 정립, 교과 교육과정과 디지털 리터러시 내용 기준 연계, 디지털 리터러시 경험 및 교수학습 사례 분석과 교과 연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안 수립을 연구 내용으로 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한 기본 연구 방법으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 도출을 위한 문헌 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현장 교사 심층면담(FGI)과 월드카페테리아 형식의 전문가 워크숍 등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더보기
목차
제1장.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3
제2장.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내용 체계..........13
제3장. 디지털 리터러시 세부 학습요소별 초·중등 학년군별 활동 분류..........105
제4장. 교과별/학년군별 성취기준과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 연계..........113
* 초등학교 교과 성취기준을 수록하였으며, 사회과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성취기준을 수록함
1. 국어과..........115
2. 도덕과..........131
3. 사회과..........141
4. 수학과..........211
5. 과학과..........233
6. 실과과..........255
7. 체육과..........267
8. 음악과..........281
9. 미술과..........287
10. 영어과..........295
11.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과..........303
더보기
저자소개
연구 책임자 : 김진숙(한국교육학술정보원)
공동 연구자 : 김묘은(디지털리터러시교육협회), 박일준(솔브릿지국제경영대학교), 배현순(중앙대학교), 이지은(경북대학교), 임동신(한국교육학술정보원), 임지영(서울여자간호대학교), 홍선주(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조원 : 조영심(연세대학교)
더보기